2019년 2월 Devlog
1일
git의 rev 표시 방법
http://schacon.github.io/git/git-rev-parse#_specifying_revisions
간단히 말하면 ^은 width 방향 셀렉터 ~는 height 방향 셀랙터이다.
12일
wkinote patch. 최근 변경 사항을 볼수 있게 되었다.
13일
- kube infotmer
- http request generater
- https://github.com/tsenart/vegeta
- http stress 테스트 할때 유용하다.
- https://awmanoj.github.io/tech/2016/12/16/keep-alive-http-requests-in-golang/
- http keep alive 관련
- https://www.youtube.com/watch?v=WA7QTM9hovQ
- raspi vpn
- raspi ad block
- RFC3339 는 sort 할수 있다. 다만, Timezone 을 0 으로 해둬야 한다.
- https://www.youtube.com/watch?v=kb-m2fasdDY
- GOTO 2016 • What I Wish I Had Known Before Scaling Uber to 1000 Services • Matt Ranney
- https://tv.naver.com/v/4578450
- 책에서는 맛볼 수 없는 HTML5 Canvas 이야기
14일
- https://www.youtube.com/watch?v=j6ow-UemzBc
- Design Microservice Architectures the Right Way
- https://www.youtube.com/watch?v=5VGJOW4QA3Q
- Reducing Boilerplate With Kubernetes Custom Resource Definitions - James Bowes
- https://www.youtube.com/watch?v=-Ci4vd4rh4M
- Kubernetes in production - blue-green deployment, auto scaling and deployment automation
- https://www.youtube.com/watch?v=jJS6G7irZSc
- Simulating A Real-World System (Coffee Shop) In Go
- https://www.youtube.com/watch?v=fnSNPgwXcUc
- Kubernetes Feature Prototyping with External Controllers and Custom Resource Definitions
- https://www.youtube.com/watch?v=eDjVDO2_O7A
- The Future of Loading on the Web
- https://www.youtube.com/watch?v=7wdUa4Ulwxg
- Writing Kubernetes Controllers for CRDs: Challenges, Approaches and Solutions - Alena Prokharchyk
- https://www.youtube.com/watch?v=NX0sHF8ZZgw
- Go + Microservices = Go Kit [I] - Peter Bourgon, Go Kit
- https://www.youtube.com/watch?v=cmkKxNN7cs4
- Writing Beautiful Packages in Go
15일
docker는 마법 지팡이가 아니다. dockerize 할떄 엄연히 노력이 들어가며, 서버 한두개 띄우겠다고 docker 플랫폼 전체를 클라우드 서비스(AWS, GCE) 없이 구축하고 사용하는 것은 너무 오버 엔지니어링이다. 못해도 서버가 크던 작던 간에 100여개 이상 떠야 되는, 좀더 명확하게 하자면 배포 해야할 컴포넌트의 인스턴스 수가 100개를 넘어서야 dockerize 하는 의미를 갖기 시작할것이다.
18일
개발자로써 경계 할것들 중 하나: 현실에 안주 하는것. 세상은 잘 안바뀌는 것 처럼 보이지만, 생각보다는 빨리 바뀐다. 오늘은 맞았던것이 불과 한두달 사이에 틀린것으로 바뀌어 간다.
open source에 대한 잘못된 이해는 최근 오픈소스 방향과 반대인 오픈소스를 조장한다. 최근의 오픈소스는 열린 소스를 기반으로 다양한 사람들이 저마다의 이유로 참여하며 조금씩 발전시키는 반면, 아직도 오픈소스가 단순히 소스를 제공한다는 개념에서 벗어나지 못한 집단은 오픈소스를 “런칭”할 준비를 하며 커밋을 정리하고 comment 를 정리한다.
글쎼… 얼마나 많은 오픈소스가 매 버전별로 “런칭”할 준비를 통해서 소스를 공개하는지 잘모르겠다.
19일
- https://www.youtube.com/watch?v=DEqrs-bZomo
- 쓸만한지는 모르겠지만 일반 보기에는 멋있어 보이는 navbar
- 너무 과대해서 보여주기용 이상의 의미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음.
20일
kube pod schdule 관련 article : https://www.mgasch.com/post/sched-reconcile/
27일
- cgroup 의 메모리 관련 기능이 예상치 않은 OOM을 발생시킬수 있음.
28일
time timer가 좋다길래 살까 고민. 실물이 있어야 유용 할것 같아서 살까 고민했는데 우선 간단히 웹으로 만들어서 효과 있는지 테스트 후 구매 하기로 함. 무료 앱은 없어서 그냥 간단히 만듬, https://bluemir.github.io/timer/index.html
추후에 사용법 문서나 라이센스를 추가 해야 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