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 Authn/Authz
- Authn: 시스템에 접근 하려는 사용자가 누구인지 파악
- 이 단계에서는 단일한 사용자가 누구인지만 확인 하면 된다.
- Group과 같은 여러 사용자의 복합체는 판단하지 않아도 된다.
- Authz: 사용자가 원하는 리소스에 권한이 있는지 파악
- 기본적으로는 Subject, Object, Verb를 기반으로 Matching 여부를 파악
- 대표적인 방법론은 다음과 같음
- RBAC(role-based access control)
- Object, Verb의 묶음을 Rule, Rule 의 모음을 Role로 정의
- Subject에 해당 role 이 할당(Binding)
- Subject, Object, Verb가 Matching 이 되면 pass
- ABAC(attribute-based access control)
- 각 Entity(Object, Subject)에 Attribute(tag)를 달고, 이 Tag를 기반으로 Matching
3일
- 매크로 검출을 FFT 로 하면 어떨까?
- 가정: 기계라면 click 의 주파수가 일정 할것이다.
- 따라서 FFT를 적용하면 사람이라면 여러 주파수 대역이 나오겠지만, 기계라면 특정 주파수 한 대역이 다른 대역보다 클것이다.
- Click 할때마다 Datapoint 로 취급하면 어떨지..
- 만들어 보기 전까지는 효용은 알수 없다.
5일
- 기업이 커지면 k8s 도 multi tenanacy 를 고려 해야 한다.
6일
17일
25일
31일
- command palette in vim
- vim plugin